<지난해 7월 기준, 새만금 국가산업단지에 23개 이차전지 기업이 입주 계약을 체결했으며 그 중 이미 5개 기업은 가동되고 있으며 1일 폐수량은 659㎥씩 발생하고 있다>
군산시의회가 지난 2023년 새만금산업단지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에 따른 기업에서 발생한 폐수에 대해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이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은식 의원은 군산시의회 제271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이차전지산업은 고염 폐수가 다량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바다환경이 위험에 처해 있다”며 “이차전지 산업은 ‘실과 바늘’처럼 환경보호와 산업 발전이 함께 맞물려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 의원은 “올해 정부예산은 새만금 산단 용·폐수 공동 관로 구축 지원 예산이 255억이 편성돼 있고 고염 폐수를 기업에서 자체 처리 후 공동 관로를 이용해 바다에 방류하겠다는 것이다”며 “바다에 폐수를 방류할 경우 어업인들 피해는 심각해질 것이며 방류에 대한 위험성은 이미 포항에서 확인돼 포항은 이미 이차전지 전용 공공 폐수장 설치를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포항보다 훨씬 더 많은 폐수 배출이 예상돼 심각하게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이유다”고 덧붙혔다.
서 의원은 “새만금 공단 인근 바다인 선유도는 어업인들의 생활 터전인 김 양식장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처럼 이차전지 폐수는 해양환경 오염과 생태계를 파괴시켜 환경권 보호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서 의원은 “군산 새만금 지역이 이차전지 강국으로 우뚝 서기 위해서는 안전한 폐수 처리시설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한 정책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강임준 시장의 이차전지 첨단산업 생태계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포부처럼 이차전지 전용 공공폐수 처리시설 설치를 조속히 설치해 기업이 경영하기 좋은 환경을 마련할 것”을 강조했다.
끝으로 서 의원은 ▲시는 새만금개발청과 환경부를 적극 설득, 기업 전용 공공 폐수처리장 설치를 위해 모든 자원을 가동해 줄 것 ▲바다 환경을 지키고 이차전지 기업이 오롯이 경영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기업 유치로 이어진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진행해 줄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