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과 관세협상에서 ‘농산물 수입 확대’ 가능성을 시사한 정부에 농민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선 가운데 군산시의회에서도 관련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왔다.
군산시의회(의장 김우민)는 28일 제276회 임시회 폐회 중에 이한세 의원이 대표 발의한 「식량주권 포기한 정부의 각성 촉구」건의안을 송부했다.
지난 14일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의 농산물 개방 요구에 대해 전략적 판단이 필요하다는 입장과 함께 FTA나 통상협상을 하면서 농산물이 고통스럽지 않은 협상은 없었다는 등 농산물 시장개방을 검토하고 있는 뉘앙스의 발언을 해 전국 농민들의 불안과 분노가 커지고 있다.
이에 이한세 의원은 “미국 정부는 전 세계 대다수 국가에 농산물시장 개방과 관세를 저울 위에 놓았고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많은 국가가 이에 순응해 농산물시장을 내줬다”며 “우리나라와 관세 협상에서도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 수입 제한, 쌀 물량 제한 등 규제를 미국이 문제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우리나라는 30개월령 이상 미국산 소고기는 광우병 우려로 수입을 금지해왔으며 쌀은 이미 40만여 t을 수입중이고 심지어 현재도 쌀 공급이 과잉이라며 정부에서 8만 ha의 논을 줄이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며 “그런데도 오는 한미 ‘2+2(재무·통상)’ 협의를 앞두고 정부가 또다시 농업을 고통속으로 몰아넣으려 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앞서 미국과 관세협정을 타결했던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가 시장개방으로 고작 10~20% 관세율을 적용받는 것을 보고도 깨닫는 바가 없어 보인다”며 “농업으로 생계를 이어가는 수많은 국민의 삶을 짓밟으며 우리나라 식량주권을 포기하고 얻어내는 합의가 15~18% 정도 관세율이라면 재고해봐야 할 문제다”고 꼬집었다.
이에 시의회는 정부에 ▲식량주권을 포기하고 자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최소한 책무조차 저버리는 협상안 폐기 ▲농산물시장 개방 철회 ▲농업종사자 생존권을 통상협상 거래카드로 내세우지 말 것을 건의했다.
한편, 이번 건의안은 대통령비서실장, 대한민국국회의장, 국무조정실장, 각 정당 대표, 기획재정부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전국시도의회사무처, 전국시군구의회사무국에 송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