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태창(기획행정위원회 군산1) 전북자치도의원이 8일 열린 제421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HD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정상가동과 관련 김관영지사에게 군산조선도 정상화를 위한 대책마련이 있는지 날카롭게 질의했다.
강 의원은 “약속된 보조금 지원은 올해 말이면 종료되는데 향후 구체적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며 “대기업이 지역민을 기만하고 보조금만 받아 가는 것 아니냐는 지역민의 비판이 많은데 이에 대한 견해와 어떤 논의들이 진행되고 있는지 밝혀달라”고 요구했다.
강 의원은 “군산조선소가 지난 2017년 7월 가동 중단 이후 5년 만인 2022년 10월 일부 재가동을 시작했다”며 “당시 전북도와 군산시는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2022년 10월부터 고용지원, 인력 양성 지원을 비롯한 해상운송 물류비 등 5개 사업에 국비 43억 원, 지방비 385억 원을 지원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만 해도 군산조선소가 과거 영광을 되찾을 거란 기대가 가득했지만 3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희망 고문만 계속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최근 몇 년 사이 조선업계는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군산조선소는 하청 블록 조립 공장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최근 이재명 정부는 미 정부에 마스가(MASGA) 패키지를 제안했고 군산항을 미 해군 함정 MRO 전진기지로 구축하는 안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며 “마스가는 미 현지 조선업 부흥이 목표지만 군산조선소가 국내 MRO 전진기지로 전환된다면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데 군산조선소 MRO 기지화 가능성과 이를 위한 전북도 전략은 무엇인지 밝혀달라”고 정확한 답변을 촉구했다.
한편, 강임준 군산 시장은 지난달 21일 기자간담회를 열어 “HD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 시에서 지원할 수 있는 기간은 3년이라고 못박았다”며 “현대중공업측에서 특별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다면 더 이상 지원은 시민 정서적으로도 맞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