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정희(군산3) 전북자치도의회 의원은 지난 15일 도교육청에서 개최된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 포럼’에서 경계선지능 학생을 위한 제도적 지원과 사회적 관심 확대를 강력히 촉구했다.
박 의원은 “학교 복도와 교실의 맨 뒷자리에는 지적장애로 분류되지는 않지만 또래의 학습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운 아이들이 있다”며 “이들은 단순히 공부를 못하는 학생이 아니라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할 뿐 충분히 성장할 잠재력을 지닌 학생들이다”고 강조했다.
또한 박 의원은 “그동안 교육정책은 이 아이들을 제때 발견하지 못했고 ‘경계선지능’이라는 이름조차 낯설어 교실 한켠에 놓여 있었다”며 “이 현실은 아이들의 잘못이 아닌 교육과 사회가 다가가지 못한 책임이다”고 지적했다.
특히 “맞춤형 교재와 단계별 학습 프로그램, 정서적 상담이 지원된다면 누구보다 당당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다”며 지원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이번 포럼은 박정희 의원이 발의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전북자치도교육청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 조례’의 연장선상으로 추진됐다.
이 조례는 교육청이 진단·중재·상담까지 연결되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전문기관과 협력해 구체적 사업을 실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박 의원은 “이 조례는 교실 구석에서 조용히 손을 내밀던 아이들의 작은 목소리에 응답한 결과물이다”며 “더 이상 ‘사각지대’라는 말이 존재하지 않도록 모든 아이가 존중받는 교육 현장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박 의원은 “서울·인천·울산의 사례처럼 전북에서도 진단과 지원이 일상화되고 성과평가 체계가 정착돼야 한다”며 “성과는 숫자가 아니라 아이들이 웃음을 되찾고 자존감을 회복하는 모습으로 증명돼야 한다. 아이 한 명의 눈빛에서 시작된 작은 울타리가 더 넓고 굳건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경계선지능 학생 지원의 필요성을 교육계와 지역사회가 함께 공유하고 제도적·현장적 대안을 모색하는 출발점이 됐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