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정치

“청소년 정신건강 위한 국가차원 대응체계구축해야”

박정희 도의원 대표발의…입시경쟁 내몰려 구조적 개편 필요

도내 청소년 극단적 선택 생각 15.4%로 전국 평균보다 2.6% 높아

박정희 기자(pheun7384@naver.com)0000-00-00 00:00:00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최근 청소년들의 극단적 선택이 잇따르는 가운데 전북자치도의회가 국가 차원의 대응체계구축을 촉구하고 나섰다.

 

입시 경쟁과 감정 억압이 구조적으로 아이들을 몰아세우고 있다는 점을 직시하고 교육의 무게중심을 ‘성취’에서 ‘생명’으로 옮겨야 한다는 주장이다.

 

박정희 전북도의원(군산3)은 27일 열린 제422회 임시회에서 정부를 상대로 건의안 대표발의를 통해 “청소년의 생명과 마음을 지키는 일은 교육의 출발점이자 국가의 책무다”며 “단기 처방이 아닌 구조적 개편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는 조속히 국가 차원의 대응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최근 부산에서 고등학생 3명이 학업과 진로 문제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 계기가 됐다.

 

박 의원은 이 사건을 “특정 지역의 비극이 아닌 대한민국 교육의 구조적 위기를 드러낸 신호다”며“이는 개인 탓으로만 돌릴 일이 아니라 사회가 청소년에게 무엇을 요구하고 무엇을 외면해 왔는지 냉정하게 봐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자치도정신건강복지센터가 2023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전북지역 청소년 15.4%가 “극단적 선택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전국 평균(12.8%)보다 2.6%p 높은 수치다.

 

 박 의원은 “이 수치는 단순한 통계가 아닌 우리 사회 전체에 울리는 경고음이다”며 “이 문제는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고 전국 교육 현장이 함께 안고 있는 현실이다”고 지적했다.

 

박정희 의원은 “청소년의 위기는 개인의 나약함보다는 사회가 만들어낸 구조적 결과다”며 감정을 표현할 틈도 없이 입시 경쟁에 내몰리는 교실의 현실을 꼬집었다.

 

이에 그는 근본적 전환을 위해 △청소년 정서 중심 교육 전환 국가 기본계획 수립 △모든 학교에 정신건강 전문 인력 배치 의무화 △위기 징후 조기 발견 및 대응 시스템 구축 △감정 기반 교실문화 조성과 평가 체계 다변화 △정신건강 예산 안정적 확보 및 지역 불균형 해소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박 의원은 “무너지는 마음을 지켜주는 일이야말로 교육이 시작되는 출발점이다”며 “지금의 교육은 성취 이전에 생명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는 국가 존립의 기반과 직결된 문제다”며 “정부가 생명 중심·정서 중심 교육으로 전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