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동신 시장이 민선 6기를 맞아 시민의 뜻이 정책이 되는 시정을 펼치겠다고 약속했다. 주민이 만드는 읍면동 마을장기발전계획을 수립하겠다는 것이 바로 그 것. 문 시장의 이 같은 공약은 주민이 주체가 되는 상향식 주민자치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도가 담겨져 있다. 따라서 공동 육아․교육, 먹거리 등 공동소비, 에너지 절감, 이웃돌봄 등 우선 10개 실행사업을 도출해 내년부터 우선시행사업의 주민주도를 추진하겠다는 것이다. 27개 읍면동 전체의 10개년 계획을 주민이 직접 수립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문 시장은 이 같은 공약을 추진하기 위해 협의를 통한 단계적 추진계획을 수립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시는 아직까지 공약 실현을 위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 우선 각 읍면동 마을장기발전계획 수립에 참여할 구성원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명확치않다. 따라서 현재로선 각 읍면동의 주민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구성원이 짜여질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반적인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마을장기발전계획을 위한 별도의 구성원보다는 기존의 주민자치위원회를 통해 공약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듯 싶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 같은 공약을 제대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마을계획 수립에 참여하는 구성원을 폭 넓게 기용해 내실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하고 있다. 자칫 그 구성원의 폭이 좁거나 각 읍면동 주민과 동떨어져 있게 되면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는데는 한계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이 공약이 크게 퇴색하거나 오히려 역효과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신분 밝히기를 꺼려하는 도시 전문가는 "지역의 전문가는 사실상 지역주민이다"며"이 공약이 제대로 효과를 보기 위해선 다양한 계층의 주민 참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당장 10개 우선 실행사업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지도 또 다른 과제다. 문 시장은 이 공약과 관련해 △공동육아 △교육 △먹거리 등 공동 소 비 △에너지 절감 등의 가이드라인을 간략하게만 밝혀놓은 상태 다. 이 때문에 각 읍면동의 우선 실행사업을 어떻게 선정할 지가 시의 적 잖은 고민거리로 등장 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여기에 특성이 서로 다른 각 읍면동에 우선 실행사업을 공통으로 적용해야할 지 아니면 그 지역적 특성을 최대한 살려 별도로 선정해야할 지도 고민해 볼 또 다른 문제다. 특히 읍면동 마을장기발전계획이 주민 주도로 수립될 경우 그 계획이 시의 정책에 고스란히 반영되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보완책도 필요하다. 실컷 주민발전계획만 세워놓고 그 계획이 이런저런 이유로 시 정책에 전혀 반영되지 못한다면 사실상 공약 자체의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약 추진을 위한 시의 치밀한 전략 등이 없을 경우 주민이 만드는 읍면동 마을장기발전계획 수립이라는 공약은 그저 형식적인 제도에 그칠 가능성도 높다. 주민이 만드는 읍면동 마을장기발전계획 수립으로 창의와 활력이 넘치는 선진 시정을 펼치려는 문 시장의 시도가 어떤 결과로 연결될 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