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6기 문동신 시장의 핵심 공약중 하나인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 문제가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을 위한 국비 확보도 여의치 않은데다 이전에 따른 상가주민들의 반발마저 예상되기 때문이다. 문동신 시장은 지난해 6․4 지방선거 과정에서 도심권에 위치해 교통 혼잡이 일고 건립된 지 40년이 경과돼 노후화된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을 공약으로 내놨다. 이에 따라 시외버스터미널 이전을 중장기 사업으로 분류한 뒤 우선 이전부지 선정위원회부터 구성한 뒤 단계적으로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문 시장의 이 같은 공약은 향후 50만 국제관광기업도시의 위상에 걸 맞는 버스터미널 이전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을 통해 시민편의와 지역경제 활성화 등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실속 있는 계산도 깔렸다. 시 관계자는 "시민편의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외버스터미널 이전 등을 고려중"이라며 "향후 담대하게 계획을 짜 시민공간으로 재창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공약이 아직까지 뚜렷한 방향을 잡지 못하고 원점에서 맴돌고 있다. 특히 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버스터미널 이전과 관련해 타당성 여부를 검토중이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결론을 내놓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을 위해 국비와 도비, 시비 등의 재원조달방안을 제시해 놓은 상태지만 현재로선 이 같은 재원확보가 쉽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환승시설을 갖춘 곳외에는 사실상 국비 지원이 어렵기 때문이다. 국비 지원이 전제가 되지 않을 경우 이전부지 매입과 건물 신축비용 등 1000억원에 가까운 막대한 비용을 시가 독자적으로 부담해야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터미널 이전에 따른 공백으로 상권 침체를 우려하는 상인들의 반발도 예상된다. 이 일대 음식점과 숙박업소 등은 터미널 이용객으로 인해 그 생계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터미널 이전시 적 잖은 반발을 예상할 수 있다. 인근 상가주민들이 재건축에는 찬성하지만 이전에는 반대하고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시가 구상중인 민간사업자 투자를 이끌어내는 것도 현재 여건으로선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시의 인구 등 여러 상황을 감안할 때 민간투자자가 선뜻 나서 투자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게 솔직한 실정이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새로운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자칫 터미널 이전을 무리하게 추진할 경우 지역사회의 또 다른 갈등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각 지역마다 터미널을 유치하기 위한 과다경쟁으로 지역의 새로운 갈등 문제로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익명의 도시계획 전문가는 "시외버스 터미널 이전 공약은 현재 터미널의 공간이 협소하고, 군산시 교통중심축이 변화되고 있다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것 같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전제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먼저 "터미널 이전은 주변 상가 주민의 어려움이 예상되어지는 상황에서 과연 이전 필요성이 있는 지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철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이전에 따른 현 터미널 주변상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법이 무엇인지 등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 시장의 버스터미널 이전 공약이 자칫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시 관계자는"현재 터미널이 40년 가까이 될 정도로 낙후된데다 공간 역시 비좁은 상태"라면서 "시민 의견을 충분히 들어 터미널 이전을 검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한편 현재 시외버스 터미널과 고속버스 터미널은 각각 1976년과 1975년에 준공됐다. 시외버스 터미널은 7923.6㎡, 고속버스 터미널은 865.4㎡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