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자원 육성과 보호의 길은 고기집인 어초 투입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전북연안의 올해 수산자원조성 사업비는 37억2천여만원이다. 인공어초 사업비 25억4천만원과 종묘방류 7억여만원 그밖에 불가사리제거 등 종합적인 어자원육성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정부가 금년부터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의지를 보이며 부정어업 근절책을 세우고 있지만 수산자원 보호의 근원적인 대책 마련을 위한 접근방법은 어업자원 육성을 위한 방목형 바다시설 사업이 선행되거나 병행되는데 있다. 이미 30여년 전부터 시행하고 있는 켈리포니아 등 선진형 수산자원 조성사업은 어류와 해조류의 대량생산을 위한 바다 목장형에서 성공의 결과를 찾아냈다. 방목형 어업자원조성은 물고기집인 어초를 산란해역과 중요연안 서식해역에 투입하고 음향 급이기(給餌器)등 어류보호 육성에 필요한 시설을 갖춘다. 어선의 침범을 차단하고 인공방류하는 어린 고기와 자연자원을 한정된 목장형 해역에서 육성하여 고갈된 연안을 회복시킨다. 우리 나라가 연안 어초투입 사업에 눈을 돌린 것은 한,일 어업협정이 체결된 60년대 후반기 정부지원 신조선과 대체되는 폐선을 주요 연안어장에 투입하면서부터 시작됐다. 그 당시 폐선투입은 소형 부정어선이 어망을 해저에서 끌지 못하게 하는데 불과했다. 자원보호 차원의 체계를 갖춘 지금의 콘크리트 어초는 10여년에 불과하다. 어초 투입은 아직도 사후관리에 지속적인 대책이 미흡하고 어선과 낚시업의 접근을 막는 물리적 방안이 확실하지 못한 상황에 있다. 현재 소형 불법어선의 통제방법이 해안별로 강력하게 시행되고 있다. 그렇지만 영세어민의 생계형 조업을 위해서는 연안어업자원 실태에 따른 적정한 어로 방법(어구, 망목제한 등)과 금어해역 확대 등 합리적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정부에서 선행해야 할 과제는 연안 어류 성상(性狀)조사를 보다 정확하게 실시하는데 있다. 그 자료에 의해서 어초 투입을 강화하거나 바다목장화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중요 과제는 연안어장에 대한 새로운 관리방안을 도입 할 수 있는 자료마련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