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살리기에 모든 힘을 다하자는 열기가 대단하다. 내수침체와 실업률이 높은 상황에서 경기부양에 총력을 다 하자는 외침은 당연하다. 그렇지만 구호처럼 내뿜는 경제살리기 전략은 뚜렷하게 물리적 대안이 불투명하다. 목소리만 낼께 아니다. 피부에 닿는 구체적인 실행방안과 목표를 유형별로 설정해서 추진해야 마땅하다. 국가경제는 정부에서 전체적인 경기부양책과 중소기업육성, 실업률 감소에 주력 할 것으로 인식한다. 지역에서는 지방 특성에 따라서 정책사업과 투자 유치를 강화하고 서민생활과 직결되는 각종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며 시중경기의 활성화에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지자체와 정치 관련자는 지역에 큰 공장을 끌어오는 것만이 경제발전이라는 편견에 젖어있다. 그동안 환경유발업체를 포함한 많은 공장을 끌어 왔는데도 상주인구수는 계속 줄고 지방업체는 협력업체에서도 배제되는 상황이다. 권위자와 전문가들의 작업은 이대로 지속돼야 하는 것인지 회의가 따른다. 외형을 크게 해야 내용을 채울 수 있다는 고전적 형식주의가 아니라면 합리성을 찾아 원주민과 같은 지역민, 또는 지역 업체를 생각해야 한다. 타지방에 본사를 둔 협력업체는 지방세도 흘러나간다. 또한 타지방에서 유입된 큰 업체의 고용인력은 휴일이면 모두 떠나기 때문에 지역 소비활동이 저조하고 주민등록도 없어 사실상 유동인구에 불과하다. 공장이 입주 할 때마다 고용인력이 증가하고 지역경제에 크게 도움이 된다는 식 으로 과대 포장을 예사로 하고 있다. 일부 업체는 지역 업체를 협력업체에서 제외하고 과거의 연고지에서 인맥관계로 끌어다 쓰면서도 지역의 협조가 아쉽다는 불평의 소리를 더 많이 내고 있다. 특히 타지방에서 환경유발성 업체로 지적돼 이전 해온 업체는 지역민과의 접촉까지 기피한다는 말도 있다. 참다운 지역경제 살리기는 내고장 상품 사주기를 비롯해 종사자의 상주인구화를 실행토록 해야 한다. 공단에 입주한 업체들이 먼저 지역민과 유대 강화와 함께 협력 차원의 강한 요구도 해야 마땅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