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구멍가게에서 물건하나 구입하는 일도 바로 지역경제 살리기이다. 내 고장 물품사주기, 지역업소 활용, 우리고장 사람 우선 채용 등 지역경제 살리기는 작은 일부터 좀 큰 사업까지 다양하게 작용한다. 이제 금년부터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발주하는 건설사업과 용역사업까지 한도액을 상향조정해서 시행하기로 했다. 금액을 그 보다 더욱 높였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있지만 지역경제 살리기를 의식하는 제도이기에 환영한다. 지역경제 살리기를 수요와 공급자가 모르지 않는다. 다만 그 실행을 하지 않는데 있다. 지역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사업이 아니라면 한 고장의 수요와 공급은 공존, 공유한다는 반듯한 의식에서 이뤄져야 마땅하다. 개발도상국을 중진국이라는 표현으로 사용한다. 도시에 비유하면 군산은 중진도시다. 중진도시는 대기업들이 입주하면서 겉모양은 공단과 유동인구로 인해 현대도시의 옷을 입는다. 그렇지만 형식을 갖추는데 편중된 정책이 산업과 도시개발을 함께 이루지 못 할 때 배후도시가 공동화 현상에서 허덕이는 부작용을 낳는다. 군산이 바로 그런 어려움에 놓여 있다. 공단에 입주한 기업들은 공단부지만 기업유치라는 명분으로 매각하고 자치단체의 지원이 아쉽다는 원성을 표출하고 있으며 원주민 격인 시민은 공단이 마련됐는데도 도시는 내용이 부실한 공동화 현상을 벗지 못한다는 불만의 소리가 크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상부상조의 연결고리가 허술한 자치단체의 정책빈곤이 낳은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입주업체에 대해서는 유치당시의 조건에 적절한 인센티브를 능력이 있는 데로 지원해야 할 것이며 지역민과의 연결은 입주조건에 명시해서 연결고리를 확실하게 만들었어야 한다. 그렇게 했다면 도시의 공동화가 아닌 상주인구수가 증가했을 것이다. 도시의 내용을 채우는데 소홀히 하고 기업을 유치한 다음에 시작한다는 것은 양측 모두에게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자치단체의 치밀한 사전, 사후 계획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지역경제 살리기운동을 벌이게 된 원인이 국가적 경기침체에만 있다고 돌려서는 불합리하다. 지금부터 고쳐나가야 할 모두의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