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산 소재 대학교들이 군산 대표 축제인 시간여행축제에서 역사공연, 테마음악 제작, 패션쇼 등 다양한 콘텐츠로 시민들과 소통하고 교감을 나눴다.
호원대학교(총장 강희성)와 군장대학교(총장 이진숙)는 지난 9~12일까지 ‘2025 군산시간여행축제’에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일환으로 청년 주도 창의적 혁신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이는 지역축제 활성화와 청년 역량 강화를 동시에 실현하는 대학의 새로운 역할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는 두 대학 연합 RISE 사업인 ‘시군 명소화 대학연계 사업’ 중 ‘지역축제 참여를 통한 청년 역량 강화 프로젝트: 청년 아이디어 재미잇(it)군산’의 결과물이다.
호원대는 RISE사업단 부단장인 최부헌 교수가 제작‧총괄을 맡고 기획 조항민 교수, 총연출 이희란 교수와 공연미디어학부 학생들이 스태프와 연기자로 참여했다.
학생들은 축제기간 동안 시간여행축제 영화와 이머시브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이는 1920년대 군산 역사를 배경으로 관객이 공연 일부가 돼 과거와 현재를 잇는 특별한 경험을 제공했다.
‘그 날(구 조선은행 군산 출장소)’과 ‘오래된 고백(초원사진관)’에서는 관객과 직접 만나는 형태의 몰입형 공연이 펼쳐졌으며 관람객들은 ‘기억의 방향(해망굴)’에서 직접 사운드를 체험했다.
이번 축제의 또 다른 혁신적 성과는 국내 최초 축제 정체성을 담은 공식 테마음악을 제작했다는 점이다.
호원대 채준기 교수와 실용음악학부 학생들, 정화예술대 김기원 교수팀이 작곡한 이 테마음악은 축제 스토리와 정서를 고스란히 담아냈다.

군장대는 축제 현장에서 패션쇼와 푸드코트 운영을 맡아 먹거리와 볼거리를 풍성하게 제공함으로써 방문객들에게 다양한 즐거움을 선사했다.
축제 개막일인 9일 군장대 패션산업학과가 참여한 ‘세계민속의상 패션쇼’를 화려하게 진행했다.
이번 패션쇼에는 세계 각국 민속의상과 만국기 의상, 그리고 ‘군산의 미래’를 주제로 한 창작의상들이 무대에 올라 관람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군장대 패션쇼에서는 호원대가 제공한 음원을 활용해 생동감 넘치는 무대가 펼쳐져 대학 간 협력의 성공적 모델을 제시했다.
또한, 축제기간 4일동안 운영된 ‘의상착용체험실’은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인기프로그램으로 세계민속의상과 전통의상, 아트의상 등을 직접 착용하고 기념사진을 찍으며 큰 호응을 얻었다.
스마트농식품과는 ‘우리떡 만들기 체험부스’를 운영해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전통식품 문화를 알리고 군산의 맛과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이번 두 학교의 공동사업 추진은 지역 대학 간 시너지를 창출한 우수사례로 꼽힌다.
정의붕 호원대 RISE사업단장은 “두 대학이 협력을 통해 축제 시너지를 극대화하고 지역 청년들이 군산 매력을 널리 알리는 주역으로 성장하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전했다.
이건엽 군장대 RISE사업단장은 “지역문화와 산업이 어우러진 축제 참여를 통해 현장 실무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와 협력을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