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신문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문화

“군산은 토막민의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

김태웅 서울대 교수 개항 그리고 도시의 변화 정책 세미나서 주제발표

군산신문(1004gunsan@naver.com)2017-12-08 17:09:57 2017.12.08 17:09:57 링크 인쇄 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일제하 군산주민들의 삶은 이랬다/   ‘일제 강점기 당시 군산지역주민들의 삶은 식민지 도시의 그늘이었다’ 김태웅 서울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지난달 29일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주최로 열린 ‘개항 그리고 도시의 변화’라는 정책세미나에서 일제 강점기 당시 군산지역주민들의 삶을 이렇게 정리했다. 그가 발표한 주제는 ‘일제 강점기 군산의 도시화 과정과 주민들의 삶’ <군산신문>은 당시 일제하에서 군산주민들의 생활이 얼마나 궁박(窮迫)했는 지 궁금했던 참에 그의 주제발표를 관심 있게 들여다봤다. 그리고 임의적으로 그의 발표를 정리했다.   1929년 군산부 생활실태 조사결과를 보면 한국인은 30년 이상 거주자가 158호, 10년 이상 거주자 710호인데 반해 6개월 미만 거주자는 무려 300호에 달했다. 6개월 미만 거주자가 많다는 것은 그 만큼 주민들의 이동성(移動性)이 높다는 방증이다. 이러한 급격한 증가는 농촌지역에서의 대대적인 전입에서 비롯됐다. 군산부(府)의 배후 농촌이라 할 옥구군(1935년 12월 기준)의 경우 전체 1만7619호 가운데 6할 이상이 세궁민(細窮民, 몹시 가난한 사람)이였다. 이 중에 절량농가(絶糧農家, 재해나 흉작따위로 양식이 떨어진 농가)가 1929호, 심지어 남에게 음식을 구걸해 거저 얻어먹는 걸식자(乞食者)도 514명에 달했다. 이들은 일본인 대금업자나 지주들에게 고율로 자금을 빌렸다가 갚지 못해 토지를 상실하는 자영농층이나 고율 소작료, 각종 잡부금을 감당하지 못했던 소작인들이었다. 이 결과는 근원적으로 일제하 지주제의 모순에서 비롯됐다. 옥구군의 경우 1916년에 소작농의 비율이 53.5%인데 반해 1930년에는 87.1%였다. 이러자 군산부에서 이들 몰락한 소작농을 흡입하는 요인들이 커지기 시작했다. 1920년대에 미곡 수이출(輸移出)이 크게 늘어나면서 일자리가 많아진 때문이다. 상업과 교통업 등의 비중이 높아졌다. 도시화가 지속되면서 근대적 직종도 떴다. 의료업,변호업,악기판매,사진업,백화점 등 전문 고급업종이 속속 등장했다. 모든 것이 식민지 지주제 아래서 배후지 농촌에 대한 잉여 유출의 결과에서 시작됐다. 상공업의 경우 식민지 고용구조, 민족별 임금 차별을 감수하는 현실에서 한국인 노동자들은 저임금으로 생계를 유지해가야 했다. 군산 부두의 하역 노동자군은 저임금의 대표적인 예다. 당시 농촌에서 군산부로 이주하는 빈민들중 3000여명은 부두 노동자로 살아야했다. 특히 농촌 출신의 이들이 군산부로 이주하면서 기존 부두 노동인력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일자리 경쟁이 치열해진 것이다. 그러다보니 이들의 1일 40~50전 임금이 20~30전 이하로 줄었다. 이러한 노동시장의 포화는 군산부두를 다시 떠나게 했다. 심지어 출곡기에는 농촌에서 5000여 노동자가 몰리기도 했다. 그러나 출곡량이 적어 일자리를 잡지 못했다. 또 군산부두에서 돌을 까는데 많은 노동자들이 모여들었다. 당시 일당 15전에 그쳤다. 당시 국철 기본운임이 5전, 장어덮밥 40전, 영화관 입장료 30전, 커피 한잔 10전, 맥주대병 1개 42전이었던걸 감안하면 부두 노동자들이 얼마나 열악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는 군산부 한국인의 부담 조세액에 고스란히 묻어나왔다. 호별세의 경우 1935년에 일본인이 호당 12원80전을 부담했는데 한국인은 3원64전에 그쳤다. 이러한 차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격차를 보이면서 한국인의 경우 총 호수의 반 이상이 면세자였다. 군산지역 주민들의 생활형편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엿볼 수 있다. 게다가 호적상에 오르지 못한 한국인 부랑세대(浮浪世帶, 일정하게 사는 곳과 하는 일없이 떠돌아다니는 세대)도 만만치 않았다. 동아일보는 1935년 11월2일자 기사에서 ‘미곡이출항으로 조선서 수위를 가는 현대적 문명도시인 군산에서 한국인의 극빈자는 조선에서 둘째가라면 섭섭하리만큼 엄청나게 많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한국인은 도시시설 이용에서도 차별을 받아야 했다. 일본인의 경우 수도 사용자가 9할인데 반해 한국인은 겨우 4할에 그쳤다. 아울러 군산에서 세궁민은 1935년 12월1일 기준 일본인은 107명(28호)인데 반해 한국인은 무려 1만5002명(3752호)에 달했다. 특히 전북도에 토막거주자가 전국에서 2위를 차지했는데 그 중 군산의 경우가 8할을 차지했다. 군산에는 가는 나무 가지로 얼기설기 얼거맨 기둥에다 가마니쪽으로 담을 둘러막은 불량가옥에 거주하는 호수가 4065호 거주자는 1만5263명이였다. 김 교수는 “군산은 배후지 농촌에서 전입한 조선인의 증가로 토막민의 비율이 제일 높은 도시로 자리매김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도시화의 결과 공간 역시 분화하였지만 이 것은 민족별 거주지역의 분화를 심화시켰을 뿐이며 사회간접자본시설은 오로지 일본 거주지역에 집중됐다”고 지적했다. 결국 “군산의 도시화는 일본인 거주 지역의 도시화를 의미할 뿐 조선인과는 무관했고, 군산의 도시화 과정은 이러한 잉여 유출 매커니즘에 따라 그 성쇠를 면치 못했다”고 밝혔다.

※ 군산신문사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문자가 잘 보이지 않을 경우 여기 를 클릭해주세요.

카피라이터

LOGIN
ID저장